본문 바로가기
쉬운 과학

[초등학생도 이해 하는] 계절 변화는 왜 생길까?

by [백천] 2023. 6. 25.

안녕하세요 [백천]입니다.

오늘 포스팅 해볼 주제는 바로 [계절 변화]입니다.

오늘은 지구의 계절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가지 계절을 경험하며,

각 계절마다 날씨와 자연의 모습이 달라집니다.

 

그렇다면 왜 지구의 계절은 변하게 되는 걸까요?

지구의 계절 변화는 두 가지 주요한 원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첫 번째 이유는 지구의 공전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태양의 중력에 의해 공전하며,  365일 동안 하나의 공전 주기를 완료합니다.

이때 지구는 태양과 일정한 각도로 향하게 되는데, 이 각도를 기울기라고 합니다.

 

두 번째 이유는 지구축의 기울기입니다.

지구의 축은 지구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상상의 선인데, 이 축은 약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기울어진 축 때문에 태양의 빛과 열이 지구의 표면에 동일하게 닿지 않습니다.

축의 기울기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변동이 있습니다.

 

봄과 가을에는 지구의 축이 태양을 향하거나 태양에서 최대한 멀리 위치하게 됩니다.

이때는 낮과 밤의 길이가 비슷하며, 온도 변화도 적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봄과 가을에 시원하거나 따뜻한 날씨를 경험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여름에는 지구의 축이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때 태양의 빛과 열을 많이 받게 되어 뜨거운 계절이 찾아옵니다.

낮이 길고 밤이 짧아지며, 기온도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여름에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여러 가지 활동을 즐기기도 합니다

 

겨울에는 지구의 축이 태양에서 멀어져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때 태양의 빛과 열을 적게 받게 되어 추운 계절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때는 낮과 밤의 길이가 크게 차이나며, 기온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렇게 지구의 계절 변화와 그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계절 변화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